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뮌하우젠 증후군(Münchausen Syndrome)이란? 뮌하우젠 증후군의 유래, 원인, 진단, 치료

반응형
인위성 장애. 관심을 끌기 위해서 질병에 걸렸다고 거짓말을 하거나 자해를 하는 것을 의미

 

 

뮌하우젠 증후군(Münchausen Syndrome)이란?

 

뮌하우젠 증후군은 인위성 장애 (factitious disorder)의 한 유형으로,

실제로는 건강하지만 자신이 아프다고 거짓말을 하거나 의도적으로 증상을 만들어내는 정신 질환입니다.

정신질환의 일종으로, 실제로는 신체적인 이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단지 관심을 끌기 위해서 질병에 걸렸다고 거짓말을 하거나 자해를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타인의 사랑과 관심, 동정심을 유발하기 위해 자신의 상황을

과장하고 부풀려서 얘기하는 행동으로 허언증(虛言症)의 하나입니다.

이 증후군을 가진 사람은 의도적으로 신체적 또는 정신적 질병의 증상을 만들어내거나 과장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는 타인의 관심을 끌거나 동정을 얻거나, 의료 시스템을 악용하려는 목적으로 행해질 수 있습니다.

 

 

 

 

 

뮌하우젠 증후군의 유래

뮌하우젠 증후군은 18세기 독일의 군인이자 귀족이었던 카를 프리드리히 폰 뮌하우젠 남작 (Baron Karl Friedrich Hieronymus von Münchhausen)의 이름에서 유래했습니다. 뮌하우젠 남작은 자신의 모험 경험을 이야기할 때 과장과 허풍을 섞어 흥미진진하게 이야기하는 것으로 유명했습니다. 그의 이야기는 후에 "뮌하우젠의 모험"이라는 책으로 출판되었고, 이 책은 거짓말과 과장을 상징하는 이야기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1951년, 미국의 정신과 의사 리처드 애셔 (Richard Asher)는 뮌하우젠 남작의 이야기처럼, 실제로는 건강하지만 자신이 아프다고 거짓말을 하거나 의도적으로 증상을 만들어내는 정신 질환을 "뮌하우젠 증후군"이라고 명명했습니다. 애셔 의사는 런던의 한 병원에서 만난 환자들이 뮌하우젠 남작의 이야기처럼 과장된 증상을 보이고, 의료 시스템을 악용하는 것을 관찰하고 이 질환을 명명하게 되었습니다.

 

카를 프리드리히 뮌하우젠(Karl Friedrich Münchausen) 남작은 18세기 독일 낭만주의에 흠뻑 물들어 있던 전형적인 한량이었습니다. 그는 주변 사람들의 주목을 받고자 하나둘씩 해보지도 않은 무용담을 꾸며내기 시작했는데, 이를 흥미 있게 여긴 루돌프 라스페(Rudolf Raspe)는 그를 소재로 《허풍선이 뮌하우젠 남작의 놀라운 모험》이라는 이야기를 출판했습니다.

이 책은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고 수많은 독자들의 과장이 덧붙여지면서 점점 더 황당무계하고 기기묘묘한 모험담으로 변모해 갔습니다. 1951년 미국의 정신과 의사 리처드 애셔(Richard Asher)가 의학저널 'The Lancet'을 통해 처음으로 이 증세를 묘사했습니다. 애셔 박사는 끊임없는 허풍과 과장, 진지하게 자신의 경험이라고 주장하는 부분이 환자들의 증세와 일치한다고 보고 뮌하우젠 남작의 이름을 병명으로 만들었습니다. 허위성 장애의 아형은 3가지로 나누어지며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주로 심리적인 징후와 증상이 있는 것, 둘째 주로 신체적인 징후와 증상이 있는 것, 셋째 심리적, 신체적 징후와 증상이 같이 있는 것이다. 이 중에서 주로 신체적인 징후와 증상이 있는 것이 일반적으로 뮌하우젠 증후군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뮌하우젠 증후군은 "인위성 장애" (factitious disorder)의 한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인위성 장애는 신체적 또는 정신적 증상을 의도적으로 만들어내는 정신 질환입니다. 뮌하우젠 증후군은 타인의 관심을 끌거나 동정을 얻거나, 의료 시스템을 악용하려는 목적으로 행해질 수 있습니다.

 

 

 

 

 

뮌하우젠 증후군의 원인

 

뮌하우젠 증후군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가능한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어린 시절 학대나 방임: 어린 시절 부모로부터 충분한 관심을 받지 못하거나, 학대를 경험한 경우 뮌하우젠 증후군에 걸릴 위험이 높아집니다.
  • 정신 질환: 우울증, 불안 장애, 성격 장애 등 다른 정신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 뮌하우젠 증후군에 걸릴 위험이 높아집니다.
  • 관심과 동정에 대한 욕구: 타인의 관심을 끌거나 동정을 얻기 위해 뮌하우젠 증후군을 연기할 수 있습니다.
  • 이차적 이득: 뮌하우젠 증후군으로 인해 의료 서비스를 무료로 받거나, 장애 연금을 받을 수 있는 경우 이차적 이득을 얻기 위해 연기할 수 있습니다.
  • 뇌 손상: 뇌의 특정 부위가 손상된 경우 뮌하우젠 증후군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뮌하우젠 증후군은 복합적인 질환이며, 단일한 원인으로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요인들 외에도 유전적 요인, 사회적 요인 등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뮌하우젠 증후군 진단

 

1. 증상 및 병력 조사:

  • 환자의 주诉 증상을 자세히 듣고, 과거 병력을 확인합니다.
  • 증상이 과장되거나 일관성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 다른 질병으로 설명할 수 없는 증상인지 확인합니다.

2. 검사:

  • 다양한 검사를 통해 실제 질병을 제외합니다.
  • 혈액 검사, 영상 검사, 심리 검사 등을 시행합니다.
  • 검사 결과가 정상인 경우 뮌하우젠 증후군의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3. 정신과 검사:

  • 정신과 의사가 환자의 정신 상태를 평가합니다.
  • 우울증, 불안 장애, 성격 장애 등 다른 정신 질환을 확인합니다.
  • 뮌하우젠 증후군과 유사한 증상을 유발하는 다른 정신 질환을 제외합니다.

4. 진단 기준 충족 여부 확인:

  • 다음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 뮌하우젠 증후군으로 진단됩니다.
  • 신체적 또는 정신적 증상을 의도적으로 만들거나 가장합니다.
  • 이러한 행동의 동기는 환자 역할을 하려는 것입니다.
  • 다른 질병이나 약물로 설명할 수 없는 증상입니다.
  • 증상이 6개월 이상 지속됩니다.
  • 환자의 행동이 사회적, 직업적 또는 대인 관계에 상당한 어려움을 초래합니다.

 

 

 

 

뮌하우젠 증후군 치료

뮌하우젠 증후군은 치료가 어려운 질환입니다. 환자는 자신이 질병을 연기하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치료에 대한 동기 부여가 어렵습니다. 또한, 뮌하우젠 증후군의 원인이 복합적이기 때문에 단일한 치료 방법이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뮌하우젠 증후군 치료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사용됩니다.

1. 정신 치료:

  • 환자의 정신 상태를 개선하고, 질병 연기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인지 행동 치료: 환자의 잘못된 사고방식을 바로잡고, 건강한 행동 패턴을 습득하도록 돕습니다.
  • 정신분석 치료: 환자의 과거 경험과 무의식적인 갈등을 탐구하고, 이를 통해 증상을 개선하도록 돕습니다.

2. 약물 치료:

  • 우울증, 불안 장애 등 뮌하우젠 증후군과 함께 나타나는 정신 질환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항우울제, 항불안제, 기분 안정제 등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3. 가족 치료:

  • 환자의 가족을 대상으로 뮌하우젠 증후군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환자를 돌보는 방법을 교육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가족 구성원들이 환자의 증상을 인지하고, 적절하게 대처하도록 돕습니다.

4. 사회적 지원:

  • 환자들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사회 활동에 참여하도록 돕습니다.
  • 환자들이 사회적 지지를 얻을 수 있도록 돕는 단체나 프로그램을 연결해 줍니다.

 

 

다양한 형태의 뮌하우젠 증후군

  • 인터넷 뮌하우젠 증후군 : 일명 관종. 말도 안 되는 소리를 해가면서 관심받으려고 하는 부류.
  • 대리 뮌하우젠 증후군 : 건강한 사람을 아픈 사람처럼 여겨 간호하거나 돌보는 부류.
  • 사회적 뮌하우젠 증후군 : 문제를 의도적으로 만들어 낸 후 스스로 해결하며 관심을 받으려고 하는 부류.

 

 

 

자세한 내용은 네이버 지식백과를 참고하세요.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268&cid=51007&categoryId=51007#TABLE_OF_CONTENT1

 

인위성 장애

주로 신체적인 징후나 증상을 의도적으로 만들어 내서 자신에게 관심과 동정을 이끌어 내는 정신과적 질환. [정의] 1951년 미국의 정신과 의사 리처드 애셔(Richard Asher)가 의학저널 'The Lancet'을 통

terms.naver.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