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 피폭은 방사선에 노출되어 피해를 입는 것을 가리킵니다. 방사선은 생체 세포의 DNA나 소기관, 효소를 파괴합니다. 방사선을 많이 쏘인 세포는 DNA가 망가지기 때문에, 세포의 설계도 자체가 사라진 셈이라 자연적으로 회복이 불가능하거나 회복되더라도 회복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고 이상하게 진행 될 가능성이 큽니다. 방사선 피폭은 전리 복사에 과다하게 노출되어 생체 조직이 해를 입는 것을 의미하며, 방사능병이라고도 합니다.

방사선이란? 방사선 뜻, 종류, 이용 분야, 영향
방사선은 에너지가 공간을 통해 전파되는 현상입니다. 전자기파 또는 입자 형태로 에너지를 방출하는 현상을 의미하며, 방사선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인체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
in-dok.tistory.com
방사능이란? 방사능 뜻, 종류, 영향, 이용 분야, 안전
방사능이란 전자기파나 입자의 형태로 에너지를 방출하는 물질의 성질을 말합니다. 불안정한 원소의 원자핵이 스스로 붕괴하면서 내부로부터 방사선을 방출하는데, 이 방사선의 세기를 방사능
in-dok.tistory.com
방사선 피폭의 원인
1. 자연적 원인
a) 우주 방사선: 태양과 우주로부터 오는 방사선
b) 지각 방사선: 토양과 암석에 포함된 방사성 물질(라돈, 우라늄 등)에서 발생
c) 자연 방사성 동위원소: 체내에 존재하는 칼륨-40 등의 자연 방사성 물질
2. 의료적 원인
a) X-ray 촬영: 치과 X-ray, 흉부 X-ray 등
b) CT 스캔: 더 높은 방사선 노출을 동반하는 정밀 진단 장비
c) 방사선 치료: 암 치료를 위한 고선량 방사선 조사
d) 핵의학 검사: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진단 및 치료
3. 직업적 노출
a) 원자력 발전소 종사자
b) 방사선 관련 의료진 (방사선사, 핵의학 전문의 등)
c) 항공기 승무원 (고고도에서의 우주 방사선 노출)
d) 광산 작업자 (라돈 노출 위험)
4. 핵 관련 사고
a) 체르노빌, 후쿠시마와 같은 원자력 발전소 사고
b) 핵실험으로 인한 환경오염
c) 방사성 물질 운반 중 사고
5. 소비자 제품
a) 일부 야광 시계나 나침반
b) 일부 건축 자재 (화강암 등)
c) 담배 (담배 연기에 포함된 폴로늄-210)
6. 환경 오염
a) 과거 핵실험으로 인한 전 세계적 방사성 낙진
b) 방사성 폐기물의 부적절한 처리로 인한 환경오염
7. 우발적 노출
a) 방사성 물질의 부적절한 취급이나 분실
b) 테러나 범죄에 의한 방사성 물질 노출

방사선 피폭의 영향
1. 급성 영향 (단기간 고선량 피폭)
a) 급성 방사선 증후군
- 1Sv 이상의 전신 피폭 시 발생
- 구토, 설사, 두통, 발열 등의 초기 증상
- 심각한 경우 골수 손상, 면역 체계 약화, 출혈 등 발생
b) 피부 손상
- 홍반, 탈모, 화상 등
- 심각한 경우 조직 괴사 가능
c) 생식기 영향
- 일시적 또는 영구적 불임
- 태아에 대한 영향 (기형, 발달 장애 등)
2. 만성 영향 (장기간 저선량 피폭)
a) 암 발생 위험 증가
- 백혈병, 갑상선암, 폐암, 유방암 등
- 일반적으로 피폭 후 수년에서 수십 년 후 발생 가능
b) 유전적 영향
- DNA 손상으로 인한 돌연변이 가능성
- 후손에게 유전적 이상 전달 가능성
c) 백내장
- 수정체의 혼탁화로 인한 시력 저하
d) 심혈관계 질환
- 심장병, 뇌졸중 등의 위험 증가
3. 확률적 영향과 결정적 영향
a) 확률적 영향
- 저선량에서도 발생 가능 (예: 암)
- 선량이 증가할수록 발생 확률 증가
b) 결정적 영향
- 특정 임계값 이상의 선량에서만 발생 (예: 급성 방사선 증후군)
- 선량이 증가할수록 증상의 심각도 증가
4. 심리적 영향
a) 불안과 스트레스
b) 우울증
c)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TSD)
5. 사회적 영향
a) 오염 지역 주민들의 강제 이주
b) 사회적 낙인과 차별
c) 경제적 손실 (농업, 관광업 등)
6. 환경적 영향
a) 생태계 교란
b) 동식물의 유전적 변이 증가
c) 장기적인 환경 오염
7. 방사선 호르메시스 논란
- 매우 낮은 수준의 방사선 노출이 오히려 유익할 수 있다는 가설
- 과학계에서 여전히 논란의 대상

방사선 피폭 사례
1. 체르노빌 원전 사고 (1986년, 우크라이나)
- 원자로 폭발로 인한 대규모 방사능 유출
- 초기 대응자들 중 28명이 급성 방사선 증후군으로 사망
- 주변 지역 주민들의 갑상선암 발병률 증가
- 광범위한 환경오염으로 인한 장기적 영향
2. 후쿠시마 원전 사고 (2011년, 일본)
- 지진과 쓰나미로 인한 원전 냉각 시스템 고장
- 직접적인 방사선 피해자는 적었으나, 광범위한 지역 오염
- 주민 대피와 장기적인 환경 모니터링 필요성 대두
3. 고이아니아 방사능 사고 (1987년, 브라질)
- 병원에서 버려진 방사성 물질(세슘-137)에 의한 오염
- 4명 사망, 249명 오염 확인
- 방사성 물질의 부적절한 관리의 위험성 부각
4. 도카이촌 JCO 핵연료 가공 시설 사고 (1999년, 일본)
- 핵분열 연쇄반응으로 인한 임계사고 발생
- 3명의 작업자 심각한 피폭, 2명 사망
- 작업자 교육과 안전 규정 준수의 중요성 강조
5. 마야크 재처리 공장 폭발 사고 (1957년, 소련, 키시팀 사고)
- 대규모 방사성 물질 유출로 인한 환경오염
- 장기간에 걸친 주민 건강 영향 보고
- 소련 정부의 은폐로 인해 초기 대응 지연
6. 라듐 소녀들 (1920년대, 미국)
- 시계 공장에서 라듐 함유 야광 물질 사용
- 작업자들의 만성 방사선 피폭으로 인한 골육종 등 발병
- 산업 보건 및 안전 규정 강화의 계기
7. 원자폭탄 투하 (1945년,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 즉각적인 대규모 사상자 발생
- 생존자들의 장기적인 건강 영향 (백혈병, 고형암 등)
- 방사선의 장기적 영향에 대한 연구의 시발점
8. 마샬 제도 핵실험 (1954년)
- 미국의 수소폭탄 실험으로 인한 주민 피폭
- 급성 방사선 증상과 장기적인 건강 영향 보고
- 핵실험의 환경적, 인도적 영향에 대한 인식 제고
9. 알렉산더 리트비넨코 독살 사건 (2006년, 영국)
- 폴로늄-210을 이용한 의도적 방사선 피폭 사례
- 급성 방사선 증후군으로 사망
- 방사성 물질의 테러 목적 사용 가능성 부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