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30)
극한호우란? 극한호우 유의 사항과 대처 방법 미친 듯이 내리는 비 극한호우란? 극한호우는 시간당 강수량이 72mm 이상이거나, 1시간 누적 강수량 50mm 이상, 3시간 누적 강수량 90mm 이상이 동시에 관측될 때를 가리킵니다. 일반적으로 '매우 강한 비'라고 했을 때의 기준이 시간당 30mm인데, 극한호우는 이 2배가 넘는 비를 가리킵니다. 극한호우는 시간당 강수량이 많고, 강수량이 집중적으로 내리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하천 범람, 산사태, 침수, 정전 등과 같은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극한호우는 긴급재난문자를 발송하기 위한 기준이 됩니다. 극한호우가 발생하면 극한호우 발생지역 주변의 국민들에게 기상청에서 긴급재난문자를 발송합니다. 긴급재난문자를 수신할 경우 신속히 안전 지역으로 이동하고, 안전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중성미자란? 중성미자의 특징과 종류 굉장히 흔하지만 발견하기 매우 어려운 입자 중성미자란? 중성미자(中性微子, neutrino)는 전하가 없는 기본 입자입니다. 아주 작은 질량을 가지고 있으며, 전자기력과 상호작용을 하지 않아 발견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때문에 유령 입자라고도 불립니다. 예전에는 질량이 0 아니냐는 의견이 있었지만 최근에는 0보다는 크지만 매우 작다고 보는 과학자들이 많습니다. 중성미자는 우리 우주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입자로 태양에서 생성되는 중성미자의 수는 어마어마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중성미자는 1930년 파울리가 이론적으로 예측하였으며, 1932년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엔리코 페르미에 의해 중성미자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며, 1956년 미국의 물리학자 프레드릭 라이너스 등이 실제로 발견했습니다. 중성미자는 질량이 ..
외담대 / 외상매출채권담보대출 외상 담보 대출 외담대 외담대는 외상매출채권담보대출의 약자로 B2B대출이라고도 합니다. 구매기업이 발행한 외상매출채권을 담보로 은행이 판매기업에게 대출을 하는 상품입니다. 외상매출채권은 구매기업이 판매기업에 물품이나 용역을 제공하거나 대금을 지급하기로 약속한 채권으로, 외담대는 구매기업의 신용을 바탕으로 판매기업에게 자금을 제공하는 셈입니다. 예를 들어, A(구매)가 B(판매)에게 물건을 사면서 외상으로 처리하고, 물건은 팔았지만 외상 때문에 돈을 못 받아 돈이 없는 B가 C(은행)에게 돈을 빌리면서 A에게 받을 외상값이 있으니 A에게 받으면 된다고 하는 것입니다. 외상을 하면서 발행한 외상 채권(외상매출채권)을 담보로 대출을 해 주는 것이므로 외상매출채권담보대출이라고 합니다. (예: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거미집 이론 / 거미집 모형 시장 균형 이론 거미집이론은 수요에 비해 공급의 변화가 느린 시장을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그래프 상에서 시장 가격이 변하는 궤적이 거미집과 같은 모양을 보이기 때문에 거미집이론이라는 명칭이 붙었습니다. 거미집이론은 경제학자 바실리 레온티에프 등에 의해 정식화됐습니다. 거미집이론을 적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시장은 농산물 시장입니다. 풍년이 들면 농산물 가격은 하락하지만 농산물 공급은 갑자기 줄일 수 없어 초과공급 상태를 한동안 유지하게 됩니다. 거미집이론의 가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수요는 현재 시점의 가격을 즉시 반영한다. 따라서 현재 시점의 가격에 의해 현재 시점의 수요가 결정된다. 공급은 지난 시점의 가격을 반영한다. 따라서 지난 시점의 가격에 의해 현재 시점의 공급이 결정된다. 거미집이론은 다음과 같..
레켐비란? 레켐비 효과, 레켐비 부작용 진행을 늦추는 효과가 있는 알츠하이머 치료제 레켐비 레켐비는 바이오젠과 에자이가 공동 개발한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입니다. 2023년 7월에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경도인지장애(MCI) 및 초기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로 승인받았습니다. 레켐비는 베타 아밀로이드(β-amyloid)를 타깃 하는 항체 치료제입니다. 베타 아밀로이드는 알츠하이머병의 원인 물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레켐비는 베타 아밀로이드를 뇌에서 제거하여 알츠하이머병의 진행을 늦추는 효과가 있습니다. 레켐비의 임상시험 결과, 위약 대비 인지기능 저하를 27% 늦추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뇌 속 베타 아밀로이드의 양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확인되었습니다. 레켐비는 경도인지장애(MCI) 및 초기 알츠하이머병 환자에게 투여됩니다. 2주에 한 번..
인플루엔자란? 인플루엔자의 종류와 예방 방법 독감 인플루엔자 인플루엔자(influenza)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호흡기 질환입니다. 흔히 독감으로 불립니다. 독감은 독한 감기 또는 심한 감기 정도로 알고 계신 분들이 많으신데, 감기와 독감은 다른 질환입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종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크게 A, B, C형으로 나뉩니다. A형 인플루엔자는 가장 흔한 유형으로,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인플루엔자의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B형 인플루엔자는 A형 인플루엔자에 비해 전파력이 약하지만,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C형 인플루엔자는 드물게 감염되며 일반적으로 가벼운 증상을 유발합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전염 경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 전염됩니다. 감염된 사람의 기침이나 재채기로 나온 ..
노로 바이러스란? 노로 바이러스 예방 방법 겨울철 식중독균. 구토, 설사, 발열, 복통 등을 일으키는 아주 튼튼하고 전염성이 높은 바이러스 노로 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는 비세균성 급성위장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한 종류입니다. 위장염의 가장 흔한 원인 중의 하나입니다. 겨울철에 주로 유행하며, 일반적인 식중독과는 살짝 다른 면이 있지만 증상이 비슷하여 겨울철 식중독균으로 불립니다. 세균이 아닌 바이러스라 식중독 바이러스, 노로 바이러스 식중독 이런 식으로 부르는 것이 맞을 것 같긴 합니다만, 아무래도 단어 길이가 너무 길어져서... 사람들은 긴 단어를 싫어합니다. 감염 시 설사, 구토, 복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발열과 두통을 보이는 경우도 많습니다. 노로바이러스는 사람의 위와 장에 염증을 일으키는, 크기가 매우 작은 바이러스입니다. ..
네이버 치지직이란? 네이버에서 2023년 12월 19일에 출시한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 네이버 치지직은 네이버에서 2023년 12월 19일에 출시한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입니다. 트위치와 유튜브 라이브를 경쟁 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멀티모달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차별화된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치지직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고화질 스트리밍: 최대 1080p 60fps, 비트레이트 8Mbps의 고화질 스트리밍을 지원합니다. 멀티모달 AI: 텍스트, 이미지, 음성 등을 동시에 처리하는 멀티모달 AI 기술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합니다. 자동 자막: 스트리밍 영상의 음성을 실시간으로 자막으로 변환합니다. 감정 분석: 스트리머의 표정과 목소리를 분석하여 감정을 파악합니다. 콘텐츠 분석: 스트리밍 영상의..
슈링크 플레이션이란? 제품의 가격은 그대로 두고 제품의 수량이나 크기, 용량을 줄여 판매하는 것 슈링크 플레이션 슈링크 플레이션(shrinkflation)은 제품의 가격은 그대로 두고 제품의 용량이나 크기를 줄여 판매하는 것을 말합니다. '줄어들다, 감소하다'라는 뜻을 가진 영어 단어 슈링크(shrink)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입니다. 비슷한 표현으로 패키지 다운사이징(Package Downsizing)이 있습니다. 슈링크 플레이션은 기업이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가격을 직접 인상하는 대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입니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원재료비나 인건비가 상승하면 기업은 생산원가가 증가합니다. 이 경우 가격을 인상하면 소비자의 반발을 살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은 제품의 수량이나 크기를 줄이거..
올베르스의 역설, 밤하늘은 왜 어두울까? 무수히 많은 별들이 있다면 밤에도 밝아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다는 것. 올베르스의 역설은 우주가 무한하고, 모든 방향으로 무한히 멀리까지 뻗어 있으며, 별들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밤하늘이 어두운 이유를 설명하기 어려운 역설입니다. 무한한 우주라는 가정이 잘못된 것 아니냐? 이 가정에 따르면, 지구에서 어떤 방향으로든 무한히 멀리까지 직선을 그으면 언젠가는 별의 표면에 도달하게 됩니다. 따라서 밤하늘 전체는 별의 표면으로 덮여 있어야 합니다. 별의 밝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줄어들지만, 별의 각도 크기도 거리에 따라 동일한 배수로 줄어들기 때문에, 별의 밝기는 거리에 상관없이 일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구에서 보는 밤하늘 전체는 별의 표면만큼 밝게 빛나야 합니다. 그러나 실..